|
![](http://www.journalist.or.kr/news/photo/200811/18930_12505_5931.jpg) |
|
|
|
▲ 춘천MBC 박대용 기자 |
|
|
춘천MBC 박대용 기자는 요즘 탐사보도로 바쁜 날들을 보내고 있다.
그가 지난 5월부터 신청한 정보공개 청구건수만 무려 7백91건. 하루 평균 4건 꼴로 정보공개를 신청한 셈이다. 기자 한 명이 이렇게 방대한 양의 정보공개를 신청한 사례는 아마 전무후무한 일일 것이다.
박 기자가 이렇게 탐사보도와 정보공개제도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지난 4월 한국언론재단 탐사보도 디플로마 과정을 수료하면서부터.
당시 정보공개센터 전진한 사무국장의 강의는 박 기자의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. 지역 언론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취재 기법이었기 때문이다.
그런데 박 기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. 지난 6월 미국 탐사보도 연수를 다녀와 회사에 ‘탐사보도 전문기자’로 발령을 요청한 것. 일 잘하는 기자의 요청에 회사는 기꺼이 수락을 했고 강원도 제1호 탐사보도 전문기자가 탄생했다.
성과는 쏠쏠하다. 정보공개를 청구한 지 10일이 지나면 보도자료가 아니라 ‘처음 보는 생생한 정보’가 그의 손에 들어온다.
전
화로 자료를 요청할 때와는 확연히 다르다. 보통 공기관으로부터 건네받는 자료에는 핵심이 빠져 있는 경우가 많지만, 정보공개
자료는 공문서인지라 첨삭이나 위조를 해선 안 된다. 이 때문에 신빙성, 신뢰도가 높은 자료를 손에 넣을 수 있는 것.
문제는 강원도 지역사회에 아직 정보공개제도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. 거부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여럿이다. 특히 공무원들이 “정보공개 자료 만들기가 힘들다”며 볼멘소리를 해 올 때도 있다.
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의 정보공개와 데이터베이스 수준이 세계적으로 봐도 후진적이라는 보고가 많다는 것이다. 더구나 민감한 자료의 경우 비공개 처리되는 건수도 많다.
특히 박 기자의 경우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후원금 내역을 정보공개 신청했다가 퇴짜를 맞았다. 그래서 기업을 대상으로 탐사보도를 벌여 결국 기업이 낸 후원금이 강원도가 밝힌 후원금보다 훨씬 많다는 내용을 기사화했다.
도
시계획위원회 명단, 장·차관 차량운행 실태, 각 기관 홍보비, 공무원 검찰 입건 내용, 기관장 해외일정·숙박비 등 자질구레한
정보부터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를 막론하고 공개를 요구하는 박 기자. 강원도를 좀 더 투명한 사회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숨가쁘다.
박 기자는 “지역언론에서도 탐사보도가 가능하고 또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다”며 “많은 언론인들이 정보공개제도를 적극 활용했으면 한다”고 말했다. |